7 0 0 0 0 0 11일전 0

예브게닌 자미아친의 우리들

We by Evgenii Ivanovich Zamiatin

영어로 읽는 고전 _ 예브게닌 자미아친의 우리들 "우리들"은 20세기 초 예브게니 이바노비치 자먀친이 쓴 디스토피아 소설입니다. 이야기는 우주선 인테그랄의 수학자이자 건설자인 D-503의 시점으로 전개되며, 그가 통합국이라 불리는 철저히 통제된 사회의 삶을 기록합니다. 개성이 억압되고 획일성이 강요되는 미래를 배경으로, 이 소설은 자유와 창의성, 그리고 기계화된 삶에 대한 저항을 탐구합니다. D-503이 자신의 규제된 세계를 살아가면서, 특히 수수께끼 같은 인물 I-330을 만나면서 자신이 속한 사회의 가치관에 의문을 품기 시작합니다. "우리들"의 도입부는 D-503이 기록을 시작하는 장면으로 시작되며, 그는 처음에는 통합국 내에서의 엄격히 구조화된 삶에 대해 자부심을 표현합니다. 그는 다른 행성들에도 ..
영어로 읽는 고전 _ 예브게닌 자미아친의 우리들
"우리들"은 20세기 초 예브게니 이바노비치 자먀친이 쓴 디스토피아 소설입니다. 이야기는 우주선 인테그랄의 수학자이자 건설자인 D-503의 시점으로 전개되며, 그가 통합국이라 불리는 철저히 통제된 사회의 삶을 기록합니다. 개성이 억압되고 획일성이 강요되는 미래를 배경으로, 이 소설은 자유와 창의성, 그리고 기계화된 삶에 대한 저항을 탐구합니다.
D-503이 자신의 규제된 세계를 살아가면서, 특히 수수께끼 같은 인물 I-330을 만나면서 자신이 속한 사회의 가치관에 의문을 품기 시작합니다. "우리들"의 도입부는 D-503이 기록을 시작하는 장면으로 시작되며, 그는 처음에는 통합국 내에서의 엄격히 구조화된 삶에 대해 자부심을 표현합니다. 그는 다른 행성들에도 그들의 생활방식을 전파하려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인테그랄의 완성을 설명하며, 이는 질서를 통해 행복을 강제하려는 국가의 신념을 보여줍니다.
그의 성찰을 통해, 우리는 그가 주변의 기계적 완벽함에 대한 경외심과 함께, 그의 수학적 세계관에 도전하는 개인적 감정들이 일으키는 불안의 조짐을 볼 수 있습니다. 중요한 전환점은 I-330을 만나면서 발생하는데, 그녀는 D-503 안에 상충되는 감정과 생각들을 불러일으키며, 이는 그의 억압된 개성이 깨어나기 시작했음을 암시합니다. 질서에 대한 D-503의 욕망과 자유의 혼돈스러운 매력 사이의 긴장감은 이야기 전반에 걸친 그의 내적 갈등의 토대가 됩니다.

Classics Read in English _ We by Evgenii Ivanovich Zamiatin
"We" by Evgenii Ivanovich Zamiatin is a dystopian novel written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story is narrated by D-503, a mathematician and builder of the spaceship Integral, as he documents life in a highly controlled society called the United State. Set in a future where individuality is suppressed in favor of conformity, the narrative explores themes of freedom, creativity, and the struggle against a mechanized existence. As D-503 navigates his regulated world, he begins to question the values of his society, particularly when he encounters the enigmatic I-330. The opening of "We" introduces D-503 as he starts his records, initially expressing pride in the rigid structure of his life within the United State. He describes the completion of the Integral, a project aimed at spreading their way of living to other planets, showcasing the state's belief in enforcing happiness through order. Through his reflections, we see a blend of awe for the mechanical perfection around him and hints of unrest as he encounters personal emotions that challenge his mathematical worldview. A significant moment occurs when he meets I-330, who sparks conflicting feelings and ideas within him, hinting at the awakening of his suppressed individuality. The tension between D-503's desire for order and the chaotic allure of freedom sets the stage for his internal conflict throughout the narrative.

Among the contents
I feel my cheeks are burning as I write this. To integrate the colossal, universal equation! To unbend the wild curve, to straighten it out to a tangent—to a straight line! For the United State is a straight line, a great, divine, precise, wise line, the wisest of lines!
I, D-503, the builder of the Integral, I am only one of the many mathematicians of the United State. My pen, which is accustomed to figures, is unable to express the march and rhythm of consonance; therefore I shall try to record only the things I see, the things I think, or to be more exact, the things we think. Yes, we; that is exactly what I mean, and “We” shall, therefore, be the title of my records. But this will only be a derivative of our life,—of our mathematical, perfect life in the United State. If this be so, will not this derivative be a poem in itself, despite my limitations? It will. I believe, I know it.

서평(Book Review)
자먀친의 『우리들』은 20세기 디스토피아 문학의 초석을 다진 작품입니다. 이 소설은 전체주의 체제가 개인의 자유와 창의성을 어떻게 억압하는지를 탁월하게 보여주며, 기계적 효율성과 인간성 사이의 근본적인 충돌을 날카롭게 포착합니다.
작품의 주인공 D-503을 통해 그려지는 내적 갈등은 매우 설득력 있게 전개됩니다. 그가 경험하는 감정의 혼란과 이성적 통제 사이의 줄다리기는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유효한 문제를 제기합니다. 특히 I-330이라는 인물을 통해 표현되는 자유에 대한 갈망과 저항 정신은 소설의 긴장감을 효과적으로 고조시킵니다.
이 작품은 단순한 정치적 비판을 넘어서, 인간의 본질적 자유와 개성이 가지는 가치에 대한 깊은 성찰을 담고 있습니다. 수학적 정확성으로 대변되는 질서정연한 사회와 예측 불가능한 인간의 감정 사이의 대립은, 오늘날 기술 발전과 인공지능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우리들』은 1920년대에 쓰여졌지만, 개인의 자유와 국가 권력, 기술 발전과 인간성이라는 주제를 다룬다는 점에서 현대에도 여전히 강력한 울림을 주는 고전이라 할 수 있습니다.

Zamiatin's "We" is a foundational work of 20th-century dystopian literature. The novel excellently demonstrates how totalitarian regimes suppress individual freedom and creativity, while sharply capturing the fundamental conflict between mechanical efficiency and humanity.
The internal conflict portrayed through the protagonist D-503 unfolds very convincingly. His struggle between emotional chaos and rational control raises issues that remain relevant in modern society. In particular, the longing for freedom and spirit of resistance expressed through the character I-330 effectively heightens the novel's tension.
The work goes beyond simple political criticism to contain deep reflections on the value of essential human freedom and individuality. The confrontation between an orderly society represented by mathematical precision and unpredictable human emotions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us living in an age of technological advancement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lthough written in the 1920s, "We" remains a powerful classic that resonates strongly with contemporary readers in its exploration of themes such as individual freedom versus state power, and technological progress versus human nature.
The novel's prescient vision of a world where happiness is enforced through conformity and surveillance makes it particularly relevant to modern discussions about privacy, technology, and state control. Its influence can be clearly seen in later works of dystopian fiction, cementing its place as a pioneering work in the genre.
예브게니 이바노비치 자먀친(Evgenii Ivanovich Zamiatin, 1884-1937)은 20세기 초 러시아의 대표적인 작가이자 비평가입니다. 그는 특히 디스토피아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고 있으며, 조지 오웰의 『1984』와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에 큰 영향을 미친 소설 『우리들』(We, 1920)의 작가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자먀틴은 러시아 혁명 이전에는 조선소 기술자로 일했으며, 이 경험은 그의 작품에 과학기술과 산업화에 대한 날카로운 통찰로 반영되었습니다. 그는 초기에 볼셰비키 혁명을 지지했으나, 이후 혁명 이후의 전체주의적 경향에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었습니다.
1920년대 후반부터 소비에트 정권의 검열과 탄압에 직면하게 되었고, 1931년 고리키의 도움으로 프랑스로 망명하여 그곳에서 생을 마감했습니다. 그의 작품들은 기계문명과 전체주의에 대한 비판, 개인의 자유와 창의성에 대한 옹호를 특징으로 합니다.

Evgenii Ivanovich Zamiatin (1884-1937) was a prominent Russian writer and critic of the early 20th century. He is particularly renowned as a pioneer of dystopian literature and is best known for his novel "We" (1920), which significantly influenced George Orwell's "1984" and Aldous Huxley's "Brave New World."
Before the Russian Revolution, Zamiatin worked as a naval engineer, and this experience deeply influenced his works, providing sharp insights into science, technology, and industrialization. While he initially supported the Bolshevik Revolution, he later became critical of the totalitarian tendencies that emerged in its aftermath.
In the late 1920s, he faced increasing censorship and persecution from the Soviet regime. With the help of Maxim Gorky, he emigrated to France in 1931, where he spent the remainder of his life. His works are characterized by their criticism of mechanical civilization and totalitarianism, as well as their defense of individual freedom and creativity.
His most influential work, "We," was written in 1920-1921 but was first published in English translation, as it was banned in the Soviet Union until 1988. This novel established many of the conventions of dystopian fiction and presented a powerful critique of the dehumanizing effects of technological progress and state control.
Zamiatin's literary legacy extends beyond his dystopian masterpiece. He was also an accomplished writer of short stories and essays, demonstrating his versatility as an author and his commitment to artistic freedom in the face of political pressure.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net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